해외 원문 번역/FMOD

FMOD Studio User Manual - 2.6 Track

aesthesound 2025. 1. 23. 12:11

 

 

FMOD - FMOD Studio Concepts

2. FMOD Studio Concepts This chapter introduces several essential FMOD Studio concepts. Together, these concepts explain how the various components of an FMOD Studio project work together, and how to best develop an FMOD Studio project and implement it in

www.fmod.com

 

2.6 Track

대부분의 경우에, 이벤트의 트랙은 이벤트 안의 버스로 기능합니다. 이는 각 이벤트의 사례가 작은 믹서로 기능할 수 있게 해줍니다.에디터 윈도우에서 시트 탭 바의 아무 파라미터 시트를 선택하여 이벤트 트랙을 볼 수 있습니다(오토메이션 트랙은 버스로 기능하지 않습니다. 대신 파라미터가 이벤트의 요소를 제어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데 사용합니다).

 

오디오 트랙은 그룹 버스로 기능합니다. 각 오디오 트랙은 그 오디오 트랙에 인스트루먼트의 출력으로부터 서브믹스를 만듭니다. 스스로에게 할당하는 것은 이벤트의 다른 트랙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리턴 트랙은 리턴 버스로 기능합니다. 각 리턴 트랙은 같은 이벤트 안 다른 트랙의 유효한 센드 타겟이며, 리턴 트랙을 타겟으로 하는 센드의 아웃풋으로부터 서브믹스를 만듭니다.

 

마스터 트랙은 이벤트의 마스터 버스로 기능합니다. 이벤트의 모든 신호는 결국 이벤트 마스터 트랙에 할당되며, 거기서 프로젝트 믹서로 할당됩니다.

 

2.6.1 Signal Chains

각 오디오, 리턴, 마스터 트랙은 시그널 체인을 가집니다. 각 시그널 체인은 트랙의 서브믹스에 적용된 이펙트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벤트 에디터 윈도우의 에디터 페인에서 트랙의 머리를 클릭함으로써 덱에서 트랙의 시그널 체인을 볼 수 있습니다.

 

시그널 체인의 이펙트는 이펙트가 덱에서 나타나는 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에 따라 적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시그널 체인은 오직 볼륨을 컨트롤하는 페이더만 갖고 있습니다.

 

덱의 왼쪽과 오른쪽 끝에는 트랙의 입력과 출력 미터가 있습니다. 각 입력 또는 출력 미터는 트랙의 입력 또는 출력 채널 포맷에서 각 채널마다 하나씩 여러 개의 서브 미터로 구성되며, 이러한 서브 미터는 해당 채널의 신호 볼륨을 표시합니다.

 

기본적으로 트랙의 입력 및 출력 미터는 "자동" 채널 포맷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트랙에 할당된 시그널의 채널 포맷을 가장 많은 채널 수로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클릭 후 context menu에서 새로운 포맷을 선택함으로써 트랙의 입력 혹은 출력 미터의 채널 포맷을 바꿀 수 있습니다.

트랙의 출력 채널 형식이 모노가 아닌 경우, 트랙의 오른쪽 끝, 트랙의 출력 미터 왼쪽에 패너가 나타납니다.

 

 

 

트랙 패너는 신호의 패닝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조절은 spatialization에 의해 적용된 패닝에 추가적이며 독립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