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원문 번역/Mixing

[FabFilter] 리니어 페이즈 EQ

aesthesound 2025. 1. 29. 15:45

언제 리니어 페이즈 EQ를 사용하는가?

 

DAW로 작업하는 대부분의 엔지니어들은 양과 음을 넘나드는 음파의 시각적 재현에 익숙합니다. 이 신호는 전압으로 변환되면 스피커에 대한 일련의 명령어처럼 기능합니다. 파형/전압이 0 위면 스피커를 밖으로 밀어냅니다. 파장/전압이 0 아래라면 스피커를 안쪽으로 당깁니다. 만약 한 스피커의 와이어를 반대로 하면(극성을 반대로 하면), 스피커가 서로 함께 작동하는 대신, 한 스피커가 밀 때 다른 하나는 당깁니다. 이 신호는 현재 out of phase 상태, 즉 서로 180도 위상 차이를 가집니다. 이론상, 두 동일한 신호가 out of phase 상태에 놓이면 서로 상쇄되어 신호가 사라집니다. DAW에서는 극성/위상을 반전하는 "ø" 표시로 된 극성 반전 스위치가 있는 아무 플러그인이나 사용해서 신호의 극성을 바꿀 수 있습니다. 소리 위상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Phase: What is it and why does it matter?을 읽으세요.

 

대부분 현대 프리앰프는 전용 극성 반전 스위치가 있어 특정한 마이크의 위상을 바꾸어야 할 경우 빠르게 들어볼 수 있습니다.
 

EQ로 적용하는 어떤 타입의 필터링은 아날로그든 디지털이든 신호에 잠깐의 딜레이/위상 변화를 가져옵니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부분의 이퀄라이저는 최소 위상 필터(minimum phase filters)라고 불리며, 필터 세팅에 따라 특정한 주파수에 대한 미묘한 위상 변화만 일으킵니다. 운이 좋게도, 우리의 귀는 절대적인 위상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습니다(주파수가 파장의 양 혹은 음의 부분에 있는지). 따라서 당신이 위상 변화를 일으키는 적당한 필터링을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크게 티가 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와 같이, 당신은 소리를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결함(artefact)에 대한 걱정 없이 안전하게 EQ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파른 필터들(즉, 고차)의 경우, 위상 변화는 당신의 신호의 트랜지언트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며 꽤 명백해질 수 있습니다. 이 효과는 스미어링 현상(smearing)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필터를 거치고 위상이 변화된 신호와, 필터를 거치지 않았거나 다른 방식으로 필터링된 또 다른 비슷한 신호를 믹스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신호 사이의 위상 차가 약간의 해를 끼치는 간섭을 만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떤 타입의 병렬 프로세싱이나 스테레오 레코딩이든 위상 관계에 의존하며, 이 관계를 바꾸는 것은 항상 소리의 특징을 바꿉니다. 당신이 만드는 변화와 당신이 초래할 수도 있는 결함을 알아 두는 것은 좋습니다. 만약 결함이 이 문제를 야기한다면 당신은 리니어 페이즈 EQ를 구제책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레이턴시와 미리 울림(Latency and pre-ring)

 

반드시 고려해야 할 리니어 페이즈 EQ와의 거래가 있습니다. 모든 리니어 페이즈 EQ는 신호에 DAW에서 자동으로 보상되는 전반적인 딜레이를 초래합니다. 이 딜레이에 대해 DAW가 보상할 때 미리 울림(pre-ring)이라는 결함이 발생합니다. 미리 울림은 신호의 파형이 시작하거나 실제 트랜지언트 이전에 미리 울리는 것으로 스스로를 명백히 합니다. 미묘한 EQ 변화로 발생하는 이 효과는 무시할 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q값이 높아지고, 필터가 가파르게 되며, 게인 값이 크게 변하면 이 효과는 더 귀에 들립니다. 또한, 고해상도(더 나은 저주파 반응을 위한, 역주: 더 높은 sampling rate와 bit depth) 프로세싱 모드는 더 높은 레이턴시를 야기하고, 그러므로 미리 울림이 더욱 잘 드러나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효과가 어떻게 소리가 나는지 듣고 싶다면 아래에 있는 예를 듣거나 지시이 따라 스스로 DAW에서 재생해볼 수 있습니다. 간단한 킥/스네어/하이햇 루프를 만들거나 불러오고 Pro-Q를 리니어 페이즈 모드로 삽입하세요. 200Hz 부근에 벨 필터를 만들고 15 이상의 높은 Q값으로 20dB를 부스트하거나, FabFilter 프리셋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상당히 명확하게 미리 울림 효과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원래의 트랜지언트가 나타나기 직전에 나타나는 리버스 이펙트와 흡사합니다. 더 높은 프로세싱 모드를 선택하면 더 긴 미리 울림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

 

Pro-Q에서 리니어 페이즈 프로세스를 다룰 때, processing resolution 버튼이 사용 가능해집니다. 프로그램과 당신의 개인적 선호에 따라 정확한 해상도를 선택하세요. 다음과 같은 해상도가 선택 가능합니다:

 

  • Low는 최소한의 레이턴시로 리니어 페이즈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낮은 q값이나 오로지 스펙트럼의 중역/고역에만 영향을 줄 때 사용되어야 합니다. 44.1kHz의 샘플레이트에서, 3072 의 레이턴시가 발생합니다(약 70ms).
  • Medium은 저역 해상도와 레이턴시 사이의 좋은 타협안입니다. 일반적인 리니어 페이즈 프로세싱의 목적에 권장되는 세팅입니다. 44.1kHz에서 총 레이턴시는 5120 샘플입니다(약 116ms).
  • High는 훌륭한 저역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만약 스펙트럼의 로우엔드에 높은 Q값을 사용해야 한다면 이 모드를 사용하세요. 44.1kHz에서 총 레이턴시는 9216 샘플입니다(약 209ms).
  • Very High는 더 나은 저역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44.1kHz에서 총 레이턴시는 17408 샘플입니다(약 395ms).
  • Maximum은 아주 높은 레이턴시와 미리 울림의 가능성을 담보로 최고의 저역 해상도를 보여줍니다. 44.1kHz에서 총 레이턴시는 66560입니다(약 1509ms).

 

주의: L/R 특정 밴드나 M/S 특정 밴드를 동시에 사용할 때, 리니어 페이즈 프로세싱은 두 분리된 단계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L/R 먼저, 그리고 M/S. 이 작업은 레이턴시를 두 배로 늘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세요.

 

 

Linear Phase - Low

Listen to Linear Phase - Low by FabFilter #np on #SoundCloud

soundcloud.com

 

 

 

Linear Phase - Medium

Listen to Linear Phase - Medium by FabFilter #np on #SoundCloud

soundcloud.com

 

 

 

Linear Phase - Max

Listen to Linear Phase - Max by FabFilter #np on #SoundCloud

soundcloud.com

 
프로세싱 모드의 차이를 들려주는 예시를 번갈아 들어보세요.

이 주제에 대해 배우고 싶다면, Dan Worrall의 'EQ: linear phase vs minimum phase' 영상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