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단순한 3화음의 진행은 전위형을 바꾸어가며 근접진행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렇다면 근접진행 속에 숨어있는 원칙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저는 각 진행마다 특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2도 상하행(=7도 하행 및 상행)2도 상행(=7도 하행)하는 경우를 살펴봅시다. 예를 들어 C-Dm, F-G 같은 진행이 있겠죠. 이때 베이스는 C-D, F-G처럼 상행할 것입니다. 2도 관계의 특징은 공통음이 하나도 없다는 것입니다. 도미솔, 레파라... 겹치는 음이 없습니다. 따라서 2도 상행 진행을 위해서는 유지되는 음 없이 모든 음이 바뀌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전 글에서 보았듯이 바로 위로 진행한다고 해서 화음의 모양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진행하면 병행 5도 8도에 걸려버리고 말았습니다. 대신 ..